안녕하세요 캡짱입니다.

 

2024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소소한 업그레이드를 못하고 있다가, 새롭게 모니터를 장만해서 후기 남깁니다. 

 

1. 들어가며

가장 많은시간 즐기고 있는 게임인 월드오브워크래프트 (WOW)를 하는데 주력으로 사용하던 모니터는

크로스오버 TIO 3535 제품이었는데, 기본 스펙은...

VA 패널 / 커브드 / 3440 X 1440 UWQHD / 100Hz (N당 쓰면 120Hz) / 프리싱크 호환 입니다. 

 

IPS / 144Hz / 평면 / 프리싱크 프리미엄급 이상 제품군은

34인치 제품군 밖에 없었는데, 기존 35인치라 더 작게 가는 거라 망설이고 있었습니다. 

특가를 본 이상 제값 주고 사는 것도 좀 거시기하고, 유부당인지라 가격도 민감할 수 밖에 없는지라...^^;;

 

우연히 컴 커뮤니티를 보다가 꽤 매력적인 제품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 제품은 바로 MSI MAG401QR 제품입니다.

 

기본적인 스펙은 

 - 21:9, 3440 X 1440 울트라와이드 UWQHD

 - 155Hz 주사율 (기본 144Hz 인데, 기본으로 오버클럭이 되어 있는 듯)

 - 1ms 응답속도

 - VESA HDR 400

 - PD 65W USB Type-C

 - 게이밍 OSD App 

 - Adaptive Sync (지싱크 및 프리싱크 호환)

   뒤에서 후술 하겠지만, 프리싱크 호환으로 표기되어 있으나 해외판매사이트나 리뷰 사이트 등을 보면

   프리싱크 프리미엄이 정상작동함에도 이부분을 크게 강조하고 있지는 않았습니다. 

 

   아무래도 AMD 그래픽카드를 쓰는 유저수가 적어서, 최근 게이밍 모니터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프리싱크 프리미엄에 대한 언급을 따로 하지는 않았나봅니다.

   (그 유저수 적은 넘들 중에 1인이라 서운하달까? ㅋㅋ)

 

2. 배송

배송에 박스 파손부

엄청 박스가 큽니다. 택배 기사님께 죄송할만큼 크네요.

 

근데, 전면부에 찢어짐이 있어 깜놀했습니다. 손이 들어갈 정도로 박스가 완전 찢어진 상태로 왔습니다.

박스를 개봉하기 전부터 와이프의 도움으로 영상으로 기록을 남겨 혹시 모를 사태(?)를 대비하면서 개봉을 하였습니다. 

 

파손부위가 패널 전면부긴 한데, 완충 스티로폼으로 공간이 있는 쪽 부위라 박스파손이 큰 영향은 끼치지 않아보였습니다.

박스 위/아래 미개봉씰이 붙어있어 뭔가 안심이 된달까, 돌려막기 출고 등을 하지 않음에 대한 신뢰를 하게 되었는데,

파손은 좀 흠이 되었습니다. 아마 배송상에 혹은 출고상에 파손이 난게 아닐까 싶습니다.

 

박스도 크고, 급하게 설치하느라...중간 사진이 누락..-0-

 

3. 설치

임시로 스탠드 상태로 조립하고, 불량화소 등을 체크하였습니다. 

다행히 '무결점'이라 그런지 결점을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해제를 하고, 기존에 쓰던 모니터암에 설치를 바로 하였습니다. 

설치1

'무결점'임을 확인 후 와이프의 도움으로 모니터암 설치를 끝냈습니다.

서브모니터는 32인치 4K모니터인데, 세로 폭이 비슷해서 뭔가 자연스러운 모습입니다.

선정리는...다음에... 

두 모니터 모두 NB F100A 제품이라, 최저가 제품임에도 무게를 버텨주긴 합니다. 

자주 돌려쓰기 하면, 좀더 고가 모니터암이 나을거 같습니다.

 

설치2

WOW 화면이 한눈에 잘 들어오고, 155Hz나 프리싱크 프리미엄이 잘 작동합니다. 그럼 된거죠. -0-

VA 보다는 살짝 물빠짐 느낌, 혹은 조금 흐릿한 느낌을 지울 수는 없습니다. 

다만, 인게임 상에서는 그런 느낌보다는 훨씬 '크다' 란 감동이 ㅋㅋㅋ

 

커브드 쓰다 평면을 쓰니, 가운데가 볼록하게 튀어나와보이고, 양 사이드가 좀 줄어든달까...

커브드가 직사각형으로 보인다고 하면, 얘는 과장되게는 가운데가 볼록해 보이는걸로 보입니다.

시간이 지나면, 적응되리라 생각됩니다.

 

설치3

현재 사용하고 있는 그래픽카드는 AMD 6900XT 니트로+ 입니다. 

'프리싱크 프리미엄 (Freesync Premium)'이 정상작동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다만, WOW 쐐기나 레이드에서 144 는 커녕 60~70 프레임도 유지하기 힘들어서 유의미할지는..^^;;

 

후면 조그가 있긴 하지만, 윈도우 어플을 활용해서, 마우스로 클릭하는게 좀더 편한 느낌입니다. 

 

4. 후기

연출샷

■ 장점

 - 가성비 (50만원대가 이런 스펙을??)

 - 대형 IPS  패널

 - 144Hz 이상의 주사율 (155Hz)

 - 프리싱크 프리미엄 호환

 

■ 단점

 - MSI (경험은 못해봤지만, AS는 므시므시라는 썰이.. (무시무시))

 - 높낮이 조절이 불가한 기본 스탠드

 

■ 총평

 - IPS 대형 패널의 UWQHD, 불량만 없다면, 가성비느 킹왕짱!!!

 

사양정보 (Spec) / 2024.01.16. ~ 

CPU : AMD Ryzen 5800X3D

M/B : MSI B550 GamingEdge 

Memory : Corsair DDR4-3600 Dominator (8G * 4ea = 32GB)

        (XMP 3600 18-19-19-39 / 1T)

VGA : SAPPHIRE AMD Radeon RX 6900XT Nitro+ Special Edition

            (Phanteks vertical GPU KIT + Link Up PCI-E 4.0 라이저케이블)

SSD : Samsung PM981A (1TB) + 960 evo 500G (NVME)

HDD : WD 14TB+ WD 8TB + WD 3TB + WD 3TB 

CPU Cooling : Lian_Li Galahad AIO 360 WHITE

Cooler : Lian_Li UNI Fan X 10개 (램 스팟쿨링 - AMD 스파이어 RGB 기본)

Case : Lian_Li 011 XL ROG 화이트

Keyboard : Corsair K70 TKL (은축)

Mouse : Razer Viper Ultimate Wireless (Black) + Razer Viper Ultimate Wireless (White)

SoundCard & Speaker : Sound Blaster Katana V2

Mic : Blue Snowball Microphone

Power : 안텍 HCG Extreme 1000W

headset : Beyerdynamic MMX 300 + Apple EarPods + ASUS ROG Cetra2Core Moonlight White

Monitor : MSI MAG401QR  (40", 3440 * 1440, WQHD / Main + 2020년형 NB-F100a 모니터암)

          + 삼성 S32A704 (32", 3840 * 2,160, 4K / Sub + 2020년형 NB-F100a 모니터암)

안녕하세요 캡짱입니다. 

 

2023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최근 DDR5램으로 세대가 바뀌고 있지만,

이전 세대급에서는 B다이 튜닝램 정통의 강호! 지스킬과 신흥강자 올로이 속에서, 커세어는 좀 주춤했던거 같습니다.

PC 완제품 전문 브랜드인 HP나 ACER에서도 게이밍용 (B다이 튜닝램)을 출시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아직 구입은 안했지만, 디아4 정식 출시를 앞두고, 권장 RAM 용량이 32GB라는 소문이 있어,

B다이 튜닝램 (3200 이상, Cl14급) 램중에 가장 저렴한 HP 램으로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몇 없는 후기기는 해도, 오버 수율도 나쁘진 않은거 같아서... OTL (뒤에...)

 

배송은 주문일 포함 5~6일 정도 걸린거 같습니다. 

생각보다 빠르게 왔어요~!!

 

해외 배송도 엄청 빠른!!

 

1. 간단 개봉기

이게 끝??

국내 배송이었으면, 뽁뽁이도 좀 감아줬을 거 같은데...그냥 요래 배송이...

비닐로 밀봉!! 일단 집으로 가져가 봅니다.

전면 디자인

심플한 전면부 디자인!!!

비닐로 밀봉되어 있습니다.

후면짤

3200 램타 14-14-14-34 로 B다이 램입니다.

아쉽게도 온도센서는 없어서 아쉽습니다. 

상단부

심플한 디자인인거 같아요.

하단부

하단부도 상단부와 비슷하게 심플하게 HP로고만!

개봉 두둥

열어봅니다.

고운 자태~!!

플라스틱 보호포장 안에 잘 들어가 있습니다. 

곱습니다. 

생각보다 두툼하니 좋네요.

밀봉확인하고

밀봉을 확인하고~~!! 뜯어봅니다.

내용 구성품

구성품은 심플합니다. 

지스킬은 안경닦이 천이라도 있었지만, 이건 뭐...

한국어 설명도 있습니다. 

국내 정식출시는 AS 좋다는 서린에서 유통하는 걸로 압니다.

장착 전

곱습니다 ㅎㅎ 

이쁘다

이쁜데, 세울수가 없어서....마우스 옆에 기울여봅니다.

설치전

수율이 어떨지 기대해 봤는데.....봤는데.......OTL

 

2. 간단 설치

RGB뽕뽕~!!

RGB뽕 좋아하는 아재, 선이 곱습니다. 

지스킬램보단 조금 더 높아서, 공랭쿨러나 상단 짭수 공간은 잘 확인해봐야 합니다. 

 

3. 오버 수율

WOW 용이긴 하지만, 5800X3D + B550 조합으로 여러 램들을 지나 지스킬 트던Z 로얄 중

한때 최상급 라인이었던 4400 CL16 램을 사용하고 있었는데요.

G.Skill F4-4400C16D-16GTRS

나름 3800 14 16 16급 타이트하게 조여봤는데도, 램 오버 해봐야 프레임에 영향이 없더라구요 -0-

 

암튼 이번 제가 뽑은 HP V10은 수율이...똥망이네요.

대충 예전 셋팅 불러오는것만으로는 부팅도 안되거나, TM5 오류 뿜뿜~~!!!

 

지스킬 4400@16램으로 쓰던 3800 16 16 16 16, 3800 14-16-16-16 등 죄다 안들갑니다. -0-

 

아직 최적값을 찾지 못한 것이란 생각에, 기본 XMP 14-14-14-34 보다는 조금 타이트하게 해놨지만, 쉽지 않네요.

제가 써봤던 B다이 튜닝램은 3600 14-14-14는 웬간하면 다 들어갔었는데, 예전셋팅은 들어가지 않습니다. 

(MSI 메인보드상의 트라이잇! 기능으로는 잘 들어가긴 하는데, 느슨하게 풀린 값이라 좀 거시기 합니다)

XMP급으로 쓰고는 있습니다.

 

램오버해도 WOW 프레임에 영향이 없는 상황이라,

용량을 선택하긴 했지만,역시 똥손!! 인증입니다. 

검증된 중고가 차라리 나았을지도 .. OTL

 

2023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안녕하세요 캡짱입니다. 

 

2022년 일부 변경된 컴퓨터 셋팅이라, 일부 바뀐부분 위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2021년 게이밍 셋팅과 가장 큰 차이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 AMD Ryzen 5600X 에서 AMD Ryzen 5800X3D @ 순정 (오버가 안됨 -0-)

- Corsair K70 SE 에서 Cosair K70 TKL Champion (은축)

- G.Skill Trident Neo 3600 RGB 에서 OLOY WarHawk 3200 Platinum SE 에서 G.Skill Royal 4400C16으로 

 

2022 CabJJang WOW PC

1. 모니터

메인 모니터는 여전히 잘 사용하고 있는 크로스오버 35인치 TIO3535 제품입니다. 고장이....안....음....-0-

UWQHD (3440 * 1440 @100Hz) 로 VA패널이며, 프리싱크 제품입니다. 

N당의 G-SYNC 호환도 되며, N당 그래픽카드를 사용시엔 120Hz까지 오버되는 변태 패널입니다. 

 

VA패널로 TEXT 기반의 문서, 특히나 블랙바탕의 검정화면의 대표사이트인 쿨엔조이, 퀘이사존 등에서 

마우스 휠로 위아래 스크롤을 할 경우, 글자 사라짐 등의 현상이 나오는 단점이 있으나, 

게임 및 영상에서는 색감이나 암부 표현이 매우 좋은 제품입니다. 

 

다만 크로스오버 제품은 중소기업 제품답게 AS는 대기업만큼의 수준은 아닐 수 있습니다. 

 

보조모니터는 삼성 32인치 S32A704 제품입니다. 

4K (3840 * 2160, @60Hz) 로 VA 패널이며, 프리싱크 안되는 모니터입니다. (-0-)

친구가 생일선물로 미리 땡겨서 사줬는데...제가 게이밍 모드를 프리싱크로 착각해서..다른 거 고를 껄 ㅋㅋ

 

VA패널임에도 3서브픽셀이 적용된 패널이라 구형 VA패널의 단점을 보완(?)하여 출시된 제품입니다. 

저가제품라인임에도 HDR 및 TEXT기반의 웹에서 위에 언급한 단점이 보완되었습니다.

IPS 패널만큼은 아니지만, 블랙바탕 흰글씨, 스크롤할 때 글자 사라짐 현상이 줄어들었으며, 
IPS 패널만큼 글자 폰트 (FONT)가 선명한 편입니다. 

 

2. CPU와 메인보드, 그리고 리안리 겔러해드 AIO 360

Desktop Parts

최근에 게이밍 성능 발군이라고 해서...

5800X3D CPU의 쿨링을 책임지고 있는 갤러헤드 360 화이트 제품입니다.

얼마전 PUMP 이슈로 고장이 나서 AS로 개선된 제품을 받았습니다. 

케이스 및 팬 깔맞춤을 위해 화이트로 구성하였습니다.

 

성능은 꽤 좋은 편으로 알려져있으며, 크라켄 X62보다 좋다고 하긴 하는데, 
감성 외에 온도로 보면 크게 차이는 없습니다. 

 

NZXT 제품들에 비해 센터부의 리안리 TEXT에 RGB 효과가 안되서, 그냥 가렸습니다. 

그래서 가운데 자석부분으로 가리는 걸 준게 아닌가 싶습니다. 

 

보드는 MSI B550 게이밍엣지 제품입니다.

 

램쿨링을 위해 AMD 스파이어 팬을 떼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3800 16 16 16 혹은 3733 14 14 14 로 사용중이긴 하지만, 온도가 높은편은 아니라서, 간지(?)용이기도 합니다.

 

사파이어(SAPPHIRE) 브랜드에서 출시된 6900XT 니트로 SE 제품입니다.

외관상으로 일반 니트로와 SE의 차이는 약간의 클릭차이와 하단 팬의 RGB유무입니다. 

 

기존 엔비디아 컬러풀 3080 불칸에 비해, RT 및 DLSS 성능이 후달리긴 하지만, 
WOW에서만큼은 크게 차이가 나진 않습니다.

 

WOW 어둠땅에서 RT 상태에서도 3090급의 성능을 보여준다고 하긴 하지만, 체감은 1도 없....

 

라이저는 기존에 사용하던 Phantek사의 라이저킷에 Link Up GEN 4.0 PCIE 라이저케이블을 사용하다가 

수냉 쿨러 AS 갔다오고 뭐 하는 사이에 귀찮아서 최근에는 떼고 사용 중입니다. 

 

4. 키보드 & 마우스 & 데스크매트

커세어 K70 TKL & 레이저 바이퍼 울티메이트 무선, ASUS 이어폰, 그리고 데스크매트

키보드는 커세어 K70 의 TKL 버전이며, 8,000 레이트 ver 으로 업그레이드 된 제품입니다. (은축)

하단 변태배열을 버리고, US 표준 배열에 기본 PBT키캡입니다. 

순정은 블랙인데 레드 키캡을 추가로 구입하여 조합하여 사용 중입니다.

무엇보다 화려한 RGB가 특징인 제품입니다. 

 

마우스는 레이저사의 바이퍼 울티 무선입니다. 
일부 충전단자부의 개선된 버전이라고 하는데, 진짜인지는 모르겠네요.

손크기가 작은 편이라, G903에 비해 등높이가 낮아 좀 더 편안한 그립감을 줍니다.

 

이어폰은 얼마전 경품으로 당첨된 ASUS ROG CENTRa 2 Core Moonlight White 제품입니다.

줄곧 애플 이어팟만 쓰다가 조금 더 고급진 제품이 꽁으로 생겨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퍼달린 소리가 들립니다. 

배그하시는 분들은 매우 좋아할 만한 성향의 사운드를 들려줍니다.

 

데스크매트는 일반 게이밍패드류에 비해 사이즈가 커서 매우 만족하고 있습니다. 

사이즈는 755mm * 424mm 로 넉넉하며, 꽤 고급스러운 느낌을 줍니다. 

 

5. 스피커 그리고 마이크

Harman / Kardon Nova 스피커와 Blue SNOWBALL 마이크

스피커는 직구 제품인 하만카돈사의 노바(NOVA) 입니다.

2채널 스피커로 작은 사이즈지만, 생각보다 많은 기능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블루투스, 스테레오, 광출럭(옵티컬)이 가능한 제품으로 뒤판의 울림이 이쁜데, 실제로 사용중엔 볼 수 없긴 합니다. 

 

특유의 고질병인 아크릴 깨짐이나 갈라짐은 아직 없으나, 
터치로 컨트롤 되는 부분쪽의 끈적임이 생기는 점은 매우 아쉬운 부분입니다. 

 

사블 카타나V2 사운드바가 아른거립니다. RGB가 정말 이뻐보이던데 말이죠.. -00-

 

마이크는 디스코드 및 담소용 마이크입니다.

블루 예티로 유명한 블루사 제품으로 출시년도는 꽤 오래된 제품입니다. 

ICE 제품의 단일지향성 모드와는 달리 3가지 모드가 있다고는 하는데, 그냥 단일지향성모드로만 사용중입니다. 

USB 에 연결만 하면 되고, 전용 APP 이 있긴하지만 그닥 필요한 정도는 아니라서 그냥 사용중입니다.

 

5. 사운드카드 및 기타 

사운드카드는 사운드블라스터의 X3 입니다.

물리버튼으로 스피커 ↔ 이어폰 (혹은 헤드폰)의 전환이 매우 쉽습니다. 

배그를 접은 이후 사플의 중요성보다는 이어폰 전환의 편의성으로 사용중입니다. 

 

※ 좌측 시계는 AI 스피커인 구글 네스트 허브로 안드로이드계열의 스트리밍도 가능한 제품입니다. 

 

PC 하드웨어 모니터링용 (AIDA64 및 일부 APP, 공개 테마를 일부 커스텀해서 쓰고 있습니다)도 같이 한컷 

 

6. 기타 공유기와 모니터암

공유기

공유기는 아이피타임 8004T 입니다.

현재 사용중인 500메가 기가랜 라이트급은 잘 소화해 주고 있습니다. 

 

그래픽카드 지지대와 사은품 로봇은 여전히 본체 위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최애하는 아이템인 야광 피규어는 갈곳을 잃고....OTL

 

헤드셋은 베이어다이나믹 (Beyerdynamic) 의 MMX 300 입니다.

(착한 사람 눈에만 보여요~~!!!)

 

7. 마치며

2022 CabJJang WOW PC 야간 조명샷

사양정보 (Spec) / 2022.06.25. ~ 

CPU : AMD Ryzen 5800X3D

M/B : MSI B550 GamingEdge 

Memory : G.Skill Royal  4400C16 (8G * 2ea = 16GB)

        (XMP 4400 CL16 ▶ over clock

           @ 3800, 16-16-16-32 (1T) ,1.45V, OC

           @ 3800, 15-15-15-30 (1T), 1.50V, OC 

           @ 3733, 14-14-14-30 (1T), 1.52V, OC)

VGA : SAPPHIRE AMD Radeon RX 6900XT Nitro+ Special Edition

            (Phanteks vertical GPU KIT + Link Up PCI-E 4.0 라이저케이블)

SSD : Samsung PM981A (1TB) + 960 evo 500G (NVME)

HDD : WD 14TB+ WD 8TB + WD 3TB + WD 3TB 

CPU Cooling : Lian_Li Galahad AIO 360 WHITE

Cooler : Lian_Li UNI Fan X 10개 (램 스팟쿨링 - AMD 스파이어 RGB 기본)

Case : Lian_Li 011 XL ROG 화이트

Keyboard : Corsair K70 TKL (은축)

Mouse : Razer Viper Ultimate Wireless 

SoundCard : Sound Blaster X3 

Speaker : Harman/Kandon Nova

Mic : Blue Snowball Microphone

Power : 안텍 HCG Extreme 1000W

headset : Beyerdynamic MMX 300 + Apple EarPods + ASUS ROG Cetra2Core Moonlight White

Monitor : Crossover Tio3535 (35", 3440 * 1440, WQHD / Main + 2020년형 NB-F100a 모니터암)

          + 삼성 S32A704 (32", 3840 * 2,160, 4K / Sub + 2020년형 NB-F100a 모니터암)

안녕하세요 캡짱입니다.

 

이벤트 당첨되는 일도 생기네요. 로또를 샀었는데.....흠...

 

1. 들어가며

 

댓글달기 이벤트~!! 두둥~!!

개인적으로는 2번이 좋은거 같다고 썼는데, 당첨이 되었습니다. 

 

당첨~~!! 두둥!!!

자발적인 개봉기 및 사용후기 시작해 봅니다. ㅎㅎ

진짜 자발적~~!!!

 

에이수스 혹은 아수스 로그 (ASUS ROG) 브랜드는 PC 게이밍 기어 브랜드 중 대표브랜드 중에 하나입니다.

CORSAIR, RAZER가 마우스, 키보드, 케이스팬, 일부 노트북으로 확장된 게이밍기어 전문기업 브랜드라면,
ASUS는 메인보드, 그래픽카드, 노트북 등으로 하드웨어 전문에서 점차 게이밍기어(고가브랜드)나 부품으로 확장되고 있는 브랜드라고 개인적으로 생각되는데,
일단 커세어를 허세어라고 부르는(비꼬는?)거처럼 ASUS도 살짝 고가 브랜드중에 하나로 여겨집니다.
3000번대 그래픽을 출시하면서 TUF의 고품질 저가(?)정책으로 찬양받는 것으로 이미지가 좋아졌던 브랜드기도 합니다. 
다른 AS부문은 잘...모르겠습니다. 못써본 브랜드 중에 하나라서...^^;; 

 

암튼 각설하고...  

공식 네이버 스토어

화이트제품이 더 비싼가 봅니다. 블랙제품보다 몇천원 더 비쌉니다. 

게이밍 이어폰 치고 꽤 고가인거 같습니다. 

로그 문라이트 화이트

문라이트 화이트로 ... 최신 제품군 라인으로 화이트계열 시리즈 중 하나인가 봅니다. 

모바일과의 호환성도 좋은가봅니다. 로그폰인건가?

모바일에서도 사용가능한 모델인데, 최근 폰에는........

다행히 저는 구형폰이라 꽂아볼 수 있었습니다.....OTL

 

공식 제품명은 ROG CENTRA II CORE - Moonlight white 입니다. 

제품 간략 설명
게이밍 이어폰!!

3.5미리로 게이밍에 특화된 이어폰이라 디자인 요소에서도 뭔가 적용된게 있나봅니다. 

구조를 입체적으로 잘 나타낸거 같아요 있어보임~

개인적으로 호불호가 있을 각도긴 한데, 게이밍 하는 분들한테는 좋은 각도 인가 봅니다. 

모바일게임을 즐기지 않아서 개인적으로는 수직인게 좋은......-0-

착용감에 대해서는 역시나 호불호가 강한 디자인입니다. 

개인적으로 일반적인 이어폰 폼팁 스타일을 좋아하는데, 최근 삼성 블루투스 이어폰류도 글코 이런 방식이 많습니다.

귀안쪽라인에 밀착하는 디자인 이지만, 이역시 호불호가 강한 형태입니다. 

 

알루미늄 하우징 디자인이라는데, 실제 촉감은 프라스특인줄 알았는데, 알미늄이라고 하니 더 고급져 보입니다.

사블 X3에서는 제어가 안되지만, 모바일에서는 제어가 잘 됩니다. (안드로이드) 

IOS는 3.5 구녕이 없어서...테스트는 못해봤습니다. 

 

3.5미리가 있으면, 당연히 되는게 아닐지...^^;;

구성 요약

케이스가 참 맘에 듭니다. 

공주님 장난감중에 눈독들이던게 있었는데, 이걸로 정리를 ㅋㅋㅋㅋ

구성요약

다양한 폼팁 형태와 이어핀을 제공합니다. 

SPEC 시트

이어폰인데 2년 AS기간을 주네요.

물론 경품인지라 AS는 없지만, 정책은 좋아보입니다. 

호불호가 있지만, 제이씨현 AS 경험(RAZER 마우스)는 매우 좋았습니다. 미개봉 새제품으로 주시더라구요^^

 

2. 간단 개봉기

본격적인 개봉기 들어갑니다. 

전면

화이트 제품 라인이라 전체적으로 화이트 톤입니다.

Hi-Res Audio 가 눈에 띄입니다. 좋은건가봐요. -0-

측면

제가 아는 USB-C 가 아닌가봐요 

다양한 언어로 적혀있는데 한글도 다행히 있습니다.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 인이어 게이밍 헤드폰인데 USB-C는 아닌데 왜 이런 표기가 반복적으로 되어 있는지는.... 

박스 후면

눈의 띄는 설명은 ASUS Essence driver와 90도 꺾인...

박스 측면

제품명이 크게 적혀있습니다.

상부

매장에 고리에 걸 수 있는 구조인거 같습니다.

박스 바닥

제품 시리얼이 표기되어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밀봉되어 있습니다.

개봉박두~

사이드에서 열리는 방식으로 꽤 고급진 느낌입니다.

구성

공식 사이트에 나온 정보처럼 구성은 잘 되어 있습니다.

게이밍이어폰으로 PC에서 사용하기 좋도록 마이크와 이어폰단자 분리할 수 있는 구성도 함께 제공됩니다.

단자부

모바일 게이밍 기어로서의 90도 꺾인 단자입니다. 

리모콘부

카메라가 메롱인가봅니다. 

+- 양각으로 잘 표현이 되어 있는데 사진으로는 뿌옇게 나왔습니다. 

카메라 보호필름을 개판으로 붙여서 그런건지...흠..

로그 로고

개인적으로 이어핀(?)을 좋아하지 않는데, 3가지 형태로 제공을 합니다.

본체, 이어핀, 폼팁

실리콘 재질이라 쉽게 분해가 됩니다. 

반대로 이어핀 재조립은 살짝 손이 많이 가네요 이쁘게 구멍과 방향 맞추는게 쉽지만은 않았습니다. 

비교

전체적으로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아이폰 번들 이어폰 (이어팟)과 비교샷을 올려봅니다. 

뭔가 더 크고, 묵직한 느낌입니다.

개인적으로 이어핀은 불편해서 제거하고 사용해 보았습니다.

 

3. 개봉기를 마치며

 

일반적인 용도에서도 좋은 게이밍 이어폰!!

 

장점

- 풍부한 구성과 폼팁, 이어핀 제공, 전용 케이스 등 알차고 고급진 구성

- 노이즈 캔슬링 인이어 이어폰!!
- 첫인상, 우퍼달린 중저음 베이스의 스피커로 듣는 입체감? 공간감? 높은 해상력? 느낌!!

- 배그를 해보진 않았지만, 배그에서도 좋은 사운드를 줄거 같은 느낌!!

 

단점

- ASUS ROG 계열이 고가라인이긴 한데, 게이밍 이어폰 특화된 제품들 중에서도 꽤 고가라인
- 둥!!둥!! 거리는 중저음 베이스가 MMORPG에선 자극적으로 들릴 수도 있어...

- 노이즈캔슬링 기능이 필요없는 환경에서, 혹은 일반적 이어폰 폼팁 St. 선호하는 분들에게 호불호가 있을 스타일

 

이상 간단 개봉기를 마칩니다. 

 

안녕하세요 캡짱입니다. 

 

얼마전 올린 K70 TKL 에 단조로운 구성에 포인트를 주기 위해 동사 제품의 PBT 컬러 키캡을 구입하였습니다. 

 

공식 명칭은 커세어 PBT 더블샷 프로 입니다. (Corsair PBT Double-Shot Pro)

일반적으로 PBT는 두껍고, 이중사출의 경우, 인쇄가 지워지거나 번들거림이 없어 선호하는 재질입니다. 

 

기존 커세어 키보드는 하단 변태배열로 인해 키캡놀이에 제한이 많았지만,

K시리즈 일부 100, 70, 60 등 신모델이 하단 변태배열에서 US표준배열로 출시하면서 이런 제약이 없어졌습니다.

그러면서, 순정 PBT키캡을 다양한 색상으로 출시하였는데, 그중 RED를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아무래도 블랙엔 레드가 -0-

 

1. 박스 외관

포장비닐

키보드와 동일하게, 커세어 비닐로 한겹 쌓여있습니다.

밀봉은 스카치테잎으로...

박스 전면

RED색과 한국어 키캡임을 알 수 있습니다.

상단

상단은 고리가 있고, 밀봉테잎이 되어 있습니다. 

박스 후면

PBT키캡의 특징을 잘 설명해 두었습니다. 

한국인답게 굳~~~이 읽어보진 않았...

박스 측면

키보드 측면과 비슷하게 뭐 단순한 영문이...

 

박스 다른 측면

심플하게 제품설명이....

 

2. 심플 개봉기

밀봉 스티커

밀봉스티커를 조심스레 잘라봅니다.

개봉 두둥~~

3단 구성이고 이상한 비닐의 보입니다.

구성

구성품은 보증서랑 설명서 같은 종이쪼가리(사진 좌측에 종이가...음...패스하도록 하겠습니다.

투명박스에 A-B-C순으로 잘 배열되어 있습니다.

전부 다 쓸 용도는 아니라서...필요한 키캡만 꺼내서 꽂아봅니다.

 

3. 마치며

완성샷

최종 완성입니다.

일부 키캡 조합으로 적절히...사용을 하고자 합니다.

 

장점 

- 동사 브랜드 정품으로 일관된 키캡디자인과 순정 PBT키캡과 당연히 동일한 촉감

- 생각보다 RED가 이쁜 RED임 (블로그 사진등에 핑크빛도는 후기가 많은데, 밝은 빨강에 가깝습니다. )

 

단점 

- 알리발 키캡에 비해 비싼 가격대..굳이???

- ESC는 좀 다른 색을 서비스로 하나 정도 줘볼만도...너무 큰 기대이긴 하지만요.

 

전체샷 한컷 RGB 뽕맛!!!

안녕하세요 캡짱입니다.

 

기존에 메인으로 쓰고 있던 두개의 키보드는 

커세어 K70 RGB mk.2 SE 은축 모델과 스틸시리즈 APEX7 TKL을 번갈아 사용중이었습니다.

무선 텐키리스인 키크론 K8은 부적응으로 헐값에....

풀키보드로 인한 불편함에 화려한 RGB를 포기하고,  텐키리스였던 APEX7위주로 사용을 많이 했는데,

APEX7 TKL 역시 스크린샷 등의 3개 키가 빠진 84 키보드라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새로 영입한 키보드는 화려한 RGB와 풀키의 단점이 없는 기존 K70시리즈의 TKL 모델입니다. 

 

1. 들어가며 (제품 공식 자료)

공식 수입원 사이트에서

본 제품에 대한 요약자료입니다. 

공식 수입원 사이트에서

제품의 특징을 간단히 소개하는 자료

공식 수입원 사이트에서

키캡에 대한 설명, 그리고 커세어 제품의 특징인 게이밍 키캡 추가 제공품입니다.

공식 수입원 사이트에서

은축제품인지라, 은축에 대한 설명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2. 개봉기

깨끗하게 물티슈로 닦고 방에 들어올 수 있었어요

박스위에 커세어 로고 있는 비닐로 감싸져 있어요
박스 뒷면, 비닐
박스전면

제품명, 한국어 키캡 적용된 은축 제품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번 K70 RGB TKL의 주요 특징을 알 수 있습니다.

박스 측면

제품의 간략 구성품 설명과 시리얼이

다른 박스 측면, 밀봉

밀봉된 2개의 스티커가 있습니다 센터를 중심으로 좌/우에 동그란 투명 테잎으로 밀봉되어 있습니다.

처음 열면

열면 또 투명 비닐로 감싼 자태가~~ 뚜둥

종이쪼가리는 뭐 설명서나 보증서 이지 싶은데, 박스안에 잘 간직을...

곱네요~

박스 하단을 들어올리면, 케이블과 MOBA키캡들이 뚜둥

이번 제품은 USB 케이블이 2줄이 아닌 1줄입니다. 

기존에 USB 허브가 한라인 정도 들어갔었는데, USB-C 케이블이 한라인으로 들어가 있습니다.

근데 뭔가 허전합니다. 

팜레스트(손목받침대가 어디를 뒤져도 안나옵니다.)가 없어요. 

원가절감인건가..아님 별도로 팔려고 한건가...홈이 파여있는거 보면, 나올거 같긴한데...

추가 키캡

햄을 밀봉한 그 느낌...ㅋㅋ

케이블

일반적인 USB-C케이블이 들어있습니다.

투명비닐

 

투명 비닐이~
USB-C

직조 느낌의 일반적인 USB-C 케이블같아요

처음 연결

처음 연결하니 물결 무늬가 돌아갑니다. 

역시 영롱합니다.

키캡 비교

PBT 키캡이 기본이라 까끌까끌한 그 느낌이 좋습니다. 

가운데가 이번 MOBA 게이밍 키캡이고, 오른쪽은 기존 K70 SE에 있던 것과 유사한 알리발 짭 키캡입니다.

얼마전에 K70 RGB mk.2 SE 제품을 팔면서 정품 Moba 키캡을 드려서 비교가 어렵긴 하지만,

알리발 짭은 거의 유사하나 퀄리티가 조금 떨어지긴 합니다. 

다만 이번 Moba키캡은 기존 정품이나 짭보다 더 퀄리티가 뛰어납니다. 

 

문양이 좀더 디테일하달까, 더 홈이 깊고 명확하게 파여있습니다.

 

PBT 이중사출 뒷면

이중사출 PBT 키캡입니다. 

다만, 영문 외에 한글쪽 자판은 역시나 LED 투과율이 높지 않아, 살짝 후회가....-0-

은축 광량 역시~~~!!!

은축인데, 기존 은축보다 더 조용하고 찰랑 거리는 소리 조차 잘 잡힌 느낌입니다. 

(추후 영상 삽입 예정)

 

키캡은 OEM높이이며, 드디어 변태배열이었던 커세어 하단배열을 포기한 제품라인입니다.

PBT 더블샷 레드로 깔맞춤을 할 예정이긴 하지만, 

OEM높이의 키캡으로 교체가 가능한 자유도가 높아졌습니다. 

설정은 자유롭게

기본 자판이랑 방향키, 그리고 1~6 키는 서로 각각 다른 설정으로 돌아가게 해놨습니다. 

화려한 RGB뽕이 좋습니다.

이번 제품의 가장 큰 변화 중 하나

8,000hz라서 엄청난 스피드를 자랑하는데, 정말 좋은건지는 잘 모르겠어요.

마우스도 요즘 그정도 속도가 나오는게 나왔다고 하는데, 광고효과인거 같습니다. 

영롱한 RGB 뽕

RED 더블샷을 기다리며!! 

레인보우 소용돌이 효과

영상 간단히 남깁니다. 

팜레스트 안준게 영~~~~~~~ 원래 주던건데 왜 뺐니~~~!!!!

 

3. 개봉기를 마치며

 

K70 RGB mk.2 SE의 단점으로 지적되던 부분에서 많이 개선이 된 제품입니다. 

 

장점

- 편리한 특수키와 PBT 이중사출키캡 기본 구성

- 드디어 내려놓은 커세어 변태배열이 아닌 하단 US 기본 배열 (키캡놀이 가능)

- 고급스러운 본체와 질감, 고급 알류미늄 상판

- 화려한 RGB와 커스텀 자유도

- 일반적인 10키 무한동시입력이 아닌 완전 무한동시입력

- 케이블 분리가능, 항공케이블로도 되려나?? -0-

- 8,000hz의 하이퍼 폴링을 통해 기존 키보드보다 최대 8대 빠른 입력 속도 .. 근데 잘 모르겠...-0-

 

 

단점

- 원래 있던 팜레스트는 어디에?? 원가절감은 좋은데, 주던건 좀 줍시다!!!

- 은축인데 왜 적축 느낌이지? 음 ..뭔가 은축스러운 경쾌한 사운드보다 적축의 서걱임이 강조된 느낌이에요.

 

이상 간단 개봉기를 마칩니다. 

 

안녕하세요 캡짱입니다. 

 

어둠땅 9.1.0 인 지배의 사슬 ( World of Warcraft Shadowlands - Chanins of Domination ) 을 대비하여, 

2021년 마지막(?!) 게이밍 컴퓨터의 셋팅을 완성, 기념으로 올려 봅니다. 

 

2020 CabJJang WOW PC

 

2020년 게이밍 셋팅과 가장 큰 차이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 인텔 기반의 8700K @ 5.0 에서 AMD 5600X @ 4.65 PBO

 - Nvidia 의 컬러풀 3080 불칸에서 AMD 의 Radeon RX 6900XT Nitro+ Special Edition

 - NZXT X62 짭수에서 리안리 갤러헤드 AIO 360 

 - Phanteks Enthoo Pro TG M 에서 리안리 011 XL ROG 

 - Themaltake Riing Plus 14 TT 에서 리안리 Uni Fan

 - 보조모니터 LG 27UL850 4K 27인치 모니터에서 삼성 S32A704 4K 32인치 모니터

2021 CabJJang WOW PC - Final.Ver.

 

1. 모니터

메인 모니터는 여전히 잘 사용하고 있는 크로스오버 35인치 TIO3535 제품입니다.

UWQHD (3440 * 1440 @100Hz) 로 VA패널이며, 프리싱크 제품입니다. 

N당의 G-SYNC 호환도 되며, N당 그래픽카드를 사용시엔 120Hz까지 오버되는 변태 패널입니다. 

 

VA패널로 TEXT 기반의 문서, 특히나 블랙바탕의 검정화면의 대표사이트인 쿨엔조이, 퀘이사존 등에서 

마우스 휠로 위아래 스크롤을 할 경우, 글자 사라짐 등의 현상이 나오는 단점이 있으나, 

게임 및 영상에서는 색감이나 암부 표현이 매우 좋은 제품입니다. 

 

다만 크로스오버 제품은 중소기업 제품답게 AS는 대기업만큼의 수준은 아닐 수 있습니다. 

 

보조모니터는 삼성 32인치 S32A704 제품입니다. 

4K (3840 * 2160, @60Hz) 로 VA 패널이며, 프리싱크 안되는 모니터입니다. (-0-)

친구가 생일선물로 미리 땡겨서 사줬는데...프리싱크를 착각해서...게이밍모드랑 혼동하는 바보같은 짓을...

 

VA패널임에도 3서브픽셀이 적용된 패널이라 구형 VA패널의 단점을 보완(?)하여 출시된 제품입니다. 

저가제품라인임에도 HDR 및 TEXT기반의 웹에서 위에 언급한 단점이 보완되었습니다.

IPS 패널만큼은 아니지만, 블랙바탕 흰글씨, 스크롤할 때 글자 사라짐 현상이 줄어들었으며, 
IPS 패널만큼 글자 폰트 (FONT)가 선명한 편입니다. 

 

2. CPU와 메인보드, 그리고 리안리 겔러해드 AIO 360

Lian Li Galahad AIO 360 

RYZEN 5 5600X CPU의 쿨링을 책임지고 있는 갤러헤드 360 화이트 제품입니다.

케이스 및 팬 깔맞춤을 위해 화이트로 구성하였습니다.

 

성능은 꽤 좋은 편으로 알려져있으며, 크라켄 X62보다 좋다고 하긴 하는데, 
감성 외에 온도로 보면 크게 차이는 없습니다. 

 

NZXT 제품들에 비해 센터부의 리안리 TEXT에 RGB 효과가 안되서, 그냥 가렸습니다. 

그래서 가운데 자석부분으로 가리는 걸 준게 아닌가 싶습니다. 

 

※ 보드는 MSI B550 게이밍엣지 제품입니다.

램 스팟쿨링

램쿨링을 위해 AMD 스파이어 팬을 떼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3600 14 14 14 로 사용중이긴 하지만, 온도가 높은편은 아니라서, 간지(?)용이기도 합니다 .

 

3. 그래픽

Sapphire AMD RADEON RX 6900XT Nitro+ Special Edition

사파이어(SAPPHIRE) 브랜드에서 출시되는 공랭 최상위 라인인 RX 6900XT 니트로 SE 제품입니다. 

외관상으로 일반 니트로와 SE의 차이는 약간의 클릭차이와 하단 팬의 RGB유무입니다. 

 

기존 엔비디아 컬러풀 3080 불칸에 비해, RT 및 DLSS 성능이 후달리긴 하지만, 
WOW에서만큼은 크게 차이가 나진 않습니다.

 

WOW 어둠땅에서 RT 상태에서도 3090급의 성능을 보여준다고 하긴 하지만, 체감은 1도 없....

 

라이저는 기존에 사용하던 Phantek사의 라이저킷에 Link Up GEN 4.0 PCIE 라이저케이블을 사용하였습니다. 

 

※ 사파이어 짭수 제품인 톡시(TOXIC) 라인과 동일 기판이라고 하긴 하는데, 정확하진 않습니다.

 

※ 이미 3080급 이상을 사용하고 있는 분들 중에

혹시 찐 라라랜드가 하고 싶거나, 사용전력량을 줄여보고 싶거나, 막연히 AMD가 좋은게 아니라면...

굳이 변경하지 않아도 됩니다.   

 

4. 키보드 & 마우스 & 데스크매트

커세어 K70 SE & 레이저 바이퍼 울티메이트 무선, 그리고 데스크매트

키보드는 기존에 사용중인 커세어 K70 (SE) 은축 입니다. 

PBT 키캡과 MOBA키캡이 일부 방향키를 대신하고 있습니다. 

신축 (F4) 와 보축 (F5)의 확실한 구분을 위해 키캡 하나를 더 꼽아놨습니다. 

(근데 가끔 햇갈리네요. 여지껏 보축이 F4 였어서 그런가....간혹 실수를...)

무엇보다 화려한 RGB가 특징인 제품입니다. 

 

마우스는 레이저사의 바이퍼 울티 무선입니다. 
최근 AS를 통해 새제품으로 교체하였으며, 일부 충전단자부의 개선된 버전입니다.

손크기가 작은 편이라, G903에 비해 등높이가 낮아 좀 더 편안한 그립감을 줍니다.

 

데스크매트는 일반 게이밍패드류에 비해 사이즈가 커서 매우 만족하고 있습니다. 

사이즈는 755mm * 424mm 로 넉넉하며, 꽤 고급스러운 느낌을 줍니다. 

 

5. 사운드카드와 스피커 그리고 마이크

사운드카드

사운드카드는 사운드블라스터의 X3 입니다. 

물리버튼으로 스피커 ↔ 이어폰 (혹은 헤드폰)의 전환이 매우 쉽습니다. 

배그를 접은 이후 사플의 중요성보다는 이어폰 전환의 편의성으로 사용중입니다. 

 

※ 좌측 시계는 AI 스피커인 구글 네스트 허브로 안드로이드계열의 스트리밍도 가능한 제품입니다. 

Harman / Kardon Nova 스피커

스피커는 직구 제품인 하만카돈사의 노바(NOVA) 입니다. 

2채널 스피커로 작은 사이즈지만, 생각보다 많은 기능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블루투스, 스테레오, 광출럭(옵티컬)이 가능한 제품으로 

뒤판의 울림이 이쁜데, 실제로 사용중엔 볼 수 없긴 합니다. 

 

특유의 고질병인 아크릴 깨짐이나 갈라짐은 아직 없으나, 
터치로 컨트롤 되는 부분쪽의 끈적임이 생기는 점은 매우 아쉬운 부분입니다. 

 

BLUE SNOWBALL 

디스코드 및 담소용 마이크입니다. 

블루 예티로 유명한 블루사 제품으로 출시년도는 꽤 오래된 제품입니다. 

ICE 제품의 단일지향성 모드와는 달리 3가지 모드가 있다고는 하는데, 그냥 단일지향성모드로만 사용중입니다. 

USB 에 연결만 하면 되고, 전용 APP 이 있긴하지만 그닥 필요한 정도는 아니라서 그냥 사용중입니다.

 

6. 기타 공유기와 모니터암

공유기와 엑박패드

공유기는 아이피타임 8004T 입니다. 

현재 사용중인 500메가 기가랜 라이트급은 잘 소화해 주고 있습니다. 

 

그래픽카드 지지대와 사은품 로봇은 여전히 본체 위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최애하는 아이템인 야광 피규어는 갈곳을 잃고....OTL

 

헤드셋은 베이어다이나믹 (Beyerdynamic) 의 MMX 300 입니다.

(착한 사람 눈에만 보여요~~!!!)

 

가끔 레이싱게임을 공주님과 하곤 할 때 쓰는 무선 엑박패드입니다. 

스팀은 잘 되는데, 에픽게임즈의 게임들은 유선모드로 해야 작동을 잘 합니다. 

 

모니터암 NB F100A x 2ea

모니터암은 NB의 F100A 두대 (화이트, 블랙) 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메인 모니터인 35인치와 보조모니터 32인치를 지탱하는데는 전혀 무리가 없습니다. 

 

고급제품은 못써봐서 모르겠지만, 입문용으로 가격대비 매우 추천할 만한 제품입니다. 

 

헤드셋이 구석에 박혀있...OTL

 

7. 마치며

측면

연출샷이라 측면 유리는 빼고 찍었습니다. 

정면

연출샷이라 방 불을 꺼놓고...

야간 조명샷

RGB가 화려한 본체입니다. 

 

리안리 011 XL ROG 케이스와 유니팬 조합이 매우 이쁩니다.

쿨링 성능은 떨어지지만, RGB 효과와 혁신적인 선정리 편의성을 갖춘 시스템팬으로 최근 대세(?) 팬 중에 하나입니다. 

 

마지막으로 영상입니다.

WOW Gaming PC - 정면 RGB 구동 영상 (리안리 유니팬 / LianLi Uni Fan)

키보드와 유니팬 RGB가 화려합니다. 

WOW Gaming PC - 측면 RGB 구동 영상 (리안리 유니팬 / LianLi Uni Fan)

게임 중일 때 잠깐 찍었어요~

 

 

사양정보 (Spec) / 2021.06.20. ~ 

CPU : AMD Ryzen 5600X (4.65G, PBO)

M/B : MSI B550 GamingEdge 

Memory : G.Skill Trident Neo 3600 RGB (8G * 2ea = 16GB)

        (XMP 3600 CL16 ▶ 3600, 14-14-14-34, (1T) ,1.43V, OC)

VGA : SAPPHIRE AMD Radeon RX 6900XT Nitro+ Special Edition

            (Phanteks vertical GPU KIT + Link Up PCI-E 4.0 라이저케이블)

SSD : Samsung PM981A (1TB) + 960 evo 500G (NVME)

HDD : WD 14TB+ WD 8TB + WD 3TB + WD 3TB 

CPU Cooling : Lian_Li Galahad AIO 360 WHITE

Cooler : Lian_Li UNI Fan X 10개 (램 스팟쿨링 - AMD 스파이어 RGB 기본)

Case : Lian_Li 011 XL ROG 화이트

Keyboard : Corsair K70 RGB SE (Silver)

Mouse : Razer Viper Ultimate Wireless 

SoundCard : Sound Blaster X3 

Speaker : Harman/Kandon Nova

Mic : Blue Snowball Microphone

Power : Enermax Revolution87+ 1200W

headset : Beyerdynamic MMX 300 + Apple EarPods

Monitor : Crossover Tio3535 (35", 3440 * 1440, WQHD / Main + 2020년형 NB-F100a 모니터암)

          + 삼성 S32A704 (32", 3840 * 2,160, 4K / Sub + 2020년형 NB-F100a 모니터암)

 

안녕하세요 캡짱입니다. 

 

오늘은 갑작스럽게, 옆그레이드를...

RT, DLSS 등의 도입의 의미 외에는 3070급이라는 평이 많은 라데온 시리즈 입니다. 

깡성능은 꽤 발전이 많이 된 제품군이지만, 고성능, 고가격 대비 상대적으로 RT, DLSS 부문에서 죽쓰고 있기도 합니다. 

 

1. 박스 외관  

박스 외관

뽁뽁이로 잘 쌓여있는

박스외관 2

6900XT 니트로 스풰셜~~~ 제품입니다. 

AS 평이 좋은 이엠텍이 유통합니다.

박스 상단

이엠텍은 스티커로 붙어있는 사파이어...제품 입니다. 

고주파가 이슈가 있긴 하지만, 라데온=사파이어가 보통이긴 합니다. 

6000번대에서는 XFX보다 평이 나쁘기도 하지만...

박스 후면

제품 특성이 빡빡하게 잘 ~~ 영어에요

박스 측면

제품명과 니트로가 똬악~~!!

박스 측면2

제품 시리얼이 똬악~~ 가렸어요  -0-

 

2. 개봉을 하며...

개봉 무지박스

박스는 무지박스입니다. 별다른 디자인이 전혀 없습니다. 원가절감인가?? 음...

구성품

박스를 열면, 얇은 스티로폼으로 닫혀있습니다. 

별다른건 없습니다. 

구성품 2

그래픽카드, 보증서나 뭐 그런거 .. 그래픽지지대도 하나 있고 끝입니다. 

지지대가 그 흔한 RGB가 없어서, RGB빠로서는 좀 서운합니다. 

본체 전원부 등

8핀 2개 + 6핀 1개 조합입니다. 

안보이는 부위긴 한데, 전원부 하단의 액정에서 불이 들어오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라이저든 보드 결합이든 안보이는 부분이긴 한데, 간접조명 역할일지 그냥 잘못 뚫어놓진 않았을거 같긴 한데...

단자부

단자 마개가 3080대비 조금 저렴, 싸구려틱 하긴 합니다. 

80 니트로 SE는 usb-c 단자가 있는걸로 아는데, 6900xt는 없네요 

디스플레이3개, Hdmi 1개 입니다. 

측면

측면부에 스티로폼으로 쿨러 부품들의 눌림을 방지하는 역할 같습니다.

 

측면부

보드쪽 부분에 시리얼, 수입유통사 스티커 등이 붙어 있습니다. 

카드 전면

니트로SE는 팬쪽에 조명이 일부 들어옵니다. 

기판이 짭수버전과 호환이 된다고 하는데, 더 안정적일 수 있을거란 기대를 해봅니다.

다만, 그래픽카드는 오버를 하지 않는게 좋아서, 오버나 언더볼팅은 안하고 사용할 예정입니다. 

카드 백패널

니트로 및 니트로로고 등에 RGB가 들어오는 걸로 알아요.

우측의 가이드와 방열판 사이에 틈이 있어, 아마 눌리거나 하지 않도록 스티로폼으로 막아뒀던거 같습니다. 

 

2-1. 비교샷

좌) 6900XT, 우) 3080 불칸

기존에 사용중이던 3080과의 비교입니다. 

박스나 본품의 사이즈, 무게는 3080불칸이 좀더 크고, 무거운 느낌입니다. 

저울로 재보진 않아서....

박스 사이즈 비교

박스는 불칸이 좀더 높고, 두껍습니다. 

불칸은 그래픽카드 지지대 외에 드라이버 등도 함께 제공되며, 조금 더 고급스러운 느낌입니다. 

의미없는 초기 출고가는 6900xt가 더 높.....-0-

 

3. 설치

영롱한 RGB 자태가 ~~

급하게 조립하느라 중간샷이 없...

불칸의 LCD패널을 포기하고, 니트로의 조금은 더 화려해진 RGB를 맞이...했습니다. 

좋아하는 야광 캐릭터를 세울만한 공간이 잘 안나오네요..댄장...

 

4. 테스트

타임스파이 TEST 

최근 파이어스트라이커보다는 타임 스파이 벤치 결과가 실제 성능에 가깝다는 평이 많습니다.

순정상태에서 19천 중반대를 보여줍니다. 

단, 테스트만큼의 실성능일지는 모르겠습니다. 

깡성능 기준 FHD, QHD까지는 3090과 동급 혹은 조금 더 좋은 걸로 알려지긴 했지만,

4K이상에서는 3080 수준으로 알고 있긴 합니다. 

파이어 스트라이크 머신 라댕 점수

전통적(?)으로, 무슨 짓을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파스에 강점을 보이는 라데온시리즈답게, 

엄청난 점수를 보여줍니다. 

 

3080불칸에서 그래픽 스코어 43,000대 나오는데 비해, 거의 6만에 육박하는 점수가...

단, 파스 벤치결과랑 실성능과는 좀 괴리가 있는 편이라, 최근에는 타스에 좀더 신뢰를 하는 상황이긴 하지만,

높은 점수를 보여줍니다. 

 

노오버 순정에서 거의 6만근처라...메모리나 클럭 조금 손보면 6만은 가능할 거 같긴 합니다 ㅎㅎ

 

5. 마치며

조명샷

타스 돌릴 때 하나 남겨놨습니다. 

조명이 화려해서 좋네요. RGB뽕맛이 아주 쥑여~~줘요~~!!

조명샷2

이건 파스일 때 하나...

조명샷3

링크업 GEN 4.0 케이블과 기존에 사용하던 Phanteks 라이저킷을 활용하여, 수직으로 세웠습니다. 

니트로 SE는 쿨러쪽에 RGB가 들어가서, 좀더 화려한 맛이 있습니다. 

6. 총평

● 장점

 - 전통의 라데온 강자 사파이어 브랜드 공랭 최상위 라인

 - 니트로 SE 의 화려한 RGB

 - 상대 제품군 대비 낮은 소비전력(라고 합니다 -0-)

 - 진정한 라라랜드 (AMD CPU + AMD GPU 조합) .. +@ 성능은 글쎄요?

 - 고주파가 의외로 없음 (타스, 파스, WOW 잠깐 돌려본 바로는 고주파가 다행히 없습니다.)

  (단점으로 꼽히는 6000번대 제품군 중에 유독 사파이어 시리즈가 고주파 심하다는 평이 있음)

 - 파스 기본 테스트에서 점수 기록 및 갱신이 필요하다면, 6900xt가 답일 수 있습니다.

 

X 단점

 - RT 및 DLSS 성능 부족 ... 3070보다 한수 아래라는 평

   (RT는 있긴한데, 미약한 ... WOW는 다행히 RT뽕이 거의 없어서 ㅋㅋㅋㅋ 이게 장점일 수도)

 - 깡성능이 좋다고 하지만, 6800급 이상이면서 FHD 쓰는 사람이 얼마나 될지...240Hz이상 모니터라면??

 - 대부분의 이번 라댕 6000번대, 특유의 고주파 (다행히 없어서 감사할 뿐입니다)

 - 국내 출시된 물량 자체가 많지 않은 SE제품이라 AS 잘 받을 수 있을지...

   

PS.

WOW의 낮은 광원 효과(?)로 RT보단 깡성능을 택해본 유저 입장에서
잠깐 들어가 본 느낌적인 느낌은 ... 3080과 다르진 않다 입니다. 

 

굳이 3080급 이상 쓰시는 분은 성능에 대해 궁굼해 하지 마시고 그냥 쓰시던 거 쓰시는것도...-0-

최근 부분적으로 업그레이드 및 옆그레이드를 진행하여, 사양 정보 올려봅니다.

 

주용도는 WOW 어둠땅용입니다.  

어둠땅 업데이트하면서, GPU도 업그레이드 하게 되고, 최근 게이밍 성능이 좋은 라이젠 계열로 옮겼습니다. 

생각보다 AMD도 매우 안정적인거 같아요.

2021 CabJJang WOW PC
본체

예전 데스크탑부터 늘 함께하고 있는 야광 친구들도 구석구석 넣어두었습니다. 

그래픽 지지대도 넣어놨는데, 사진을 안남겼습니다.

 

그래픽카드는 구하긴 힘들었지만, 빨리 구한 편이라 오히려 다행인 거 같습니다.

최근 가상화폐 및 채굴 등으로 품귀현상과 함께 그래픽카드 가격대가 비정상적으로 많이 올랐습니다.
가격 안정화가 잘 오길....

근데 높아진 몸값 덕분에 3090FE나 6900XT도 관심갖게 되네요. 큰일입니다. 

 

야간 컨셉샷

유니팬은 불꺼놓고 찍으면 정말 이쁘게 잘 나오는 거 같습니다.

사진을 잘 못찍어서 그 이쁨에 다 안나오지만...

측면 유리는 사진찍을 때는 떼어놓고 찍었습니다. 반사가 되서리..

실제로는 유리 다 닫고 사용중입니다. 

 

사양정보 (Spec) / 2021.05.28. ~ 

CPU : AMD Ryzen 5600X (4.65G, PBO)

M/B : MSI B550 GamingEdge 

Memory : G.Skill Trident Neo 3600 RGB (8G * 2ea = 16GB)

        (XMP 3600 CL16 ▶ 3600, 14-14-14-34, (1T) ,1.43V, OC)

VGA : Colorful iGame 지포스 RTX 3080 Vulcan OC D6X 10G

            (Phanteks vertical GPU KIT = 현재 미사용중)

SSD : Samsung PM981A (1TB) + 960 evo 500G (NVME)

HDD : WD 14TB+ WD 8TB + WD 3TB + WD 3TB 

CPU Cooling : Lian_Li Galahad AIO 360 WHITE

Cooler : Lian_Li UNI Fan X 10개 (램 스팟쿨링 - AMD 스파이어 RGB 기본)

Case : Lian_Li 011 XL ROG 화이트

Keyboard : Corsair K70 RGB SE (Silver)

Mouse : Razer Viper Ultimate Wireless 

SoundCard : Sound Blaster X3 

Speaker : Harman/Kandon Nova

Mic : Blue Snowball Microphone

Power : Enermax Revolution87+ 1200W

headset : Beyerdynamic MMX 300 + Apple EarPods

Monitor : Crossover Tio3535 (35", 3440 * 1440, WQHD / Main + 2020년형 NB-F100a 모니터암)

          + 삼성 S32A704 (32", 3840 * 2,160, 4K / Sub + 2020년형 NB-F100a 모니터암)

 

윈도우 및 그래픽카드 등은 최신 업데이트 위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캡짱입니다. 

 

오늘은 케이스 명가 리안리에서 나온 짭수 Galahand 360 입니다.

기존 NZXT의 크라켄62는 140mm 팬 2개가 달린 짭수지만, 본 제품은 120mm 팬 3개가 달린 짭수입니다. 

 

리안리 화이트 계열 케이스와 유니팬을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어, 화이트계열을 찾게 되었습니다.

 

기본 특장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특장점

각 메인보드사의 rgb 연동도 가능한 제품으로 RGB가 비교적 이쁜편이고, 타 브랜드와 유사한 스펙입니다. 

 

매번 카드 할인을 놓쳐서 아쉬웠었는데, 이번에 딱 뜬거를 보게 되어

롯데온 - 신한카드 할인을 통해 꽤 저렴한 가격대로 구입할 수 있었습니다.

 

1. 배송

박스 전면

얇은 비닐도 같이 들어있긴 합니다. 

박스 전면 2

외관사진은 블랙이고, 화이트는 옆에 조만하게....

후면

특장점이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펌프 헤드부에 있는 RGB가 매우 몽환적이긴 한데, 영문 브랜드는 실물로는 인쇄 같아요.

눌린 박스

뽁뽁이와 검은 비닐에 돌돌 말려와서 조금 불안하긴 했지만...역시나 모서리가 조금 눌린 자국이 있습니다. 

 

2. 개봉기

큰 박스

박스가 상당히 큽니다.

상자 개봉

상자 개봉은 한방향으로만 열리게 되어있는 구조입니다. 

개봉

이런식으로 잘 들어가 있고, 3팬도 화이트로 잘 정돈되어 있습니다. 

설명서가 맨 앞에 있고, 완중 스티로폼을 2중덮개로 사용하고 있어서, 첨엔 설명서를 못보고 넘어갔습니다. ㅋㅋㅋ

맨 바닥에 있나? 하고 들쳐보기까지....-0-

설명서와 스티로폼

설명서와 스티로폼을 다시 .. 

심플한 구성

구성은 심플한 편입니다. 

방열판과 짭수, 팬3개, 각 조립부속품 뭉탱이~

자석 방식의 가림막?

동전같은게 있는데, 헤드부의 브랜드를 가릴 수 있는 형태입니다. 

자사 브랜드명을 가릴 수 있는 용도를 만들었는진 모르겠지만, 인쇄된 형태가 최근 RGB로 표현되는 트랜드와는 달라 가려준게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3. 완성샷

WOW 레이드 후 바로 재조립을 하게 되어, 조립 사진이 하나도 없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

본체

유니팬의 (흰)-(검)-(흰) 조합으로 개성있고, 나름 이쁠 것 같아서 이렇게 조립했는데...생각보다 별로 입니다. ㅋㅋㅋㅋ

검정 유니팬3개는 친구가 사주긴 했는데, 색깔을 제가 잘못 골랐나봐요

그냥 쭉~~ 흰색으로 맞췄었야 했나봅니다. 

 

노즐을 왼쪽으로 두고 싶었으나, 후면팬 간섭으로 불가하여 메모리쪽으로 돌렸습니다. 

참고로 크라켄 제품과는 다르게 헤드부분을 돌릴 수 있어서, 헤더부 브랜드글자 각도를 자유롭게 돌릴 수 있습니다. 

 

 

장점

- 특가가 정가같은 느낌 (경쟁사 대비 가격대가 저렴??)

- 헤더가 돌아감 (노즐 방향을 자유자재로 설치는 가능)

- 화이트계열 중에 꽤 성능이 좋음

 

단점

 - 특가아닌 정가주고 사기는 좀 그래요 -0-

 - 모니터링 및 제어 프로그램이 부재

   유니팬 제어 프로그램에서 추가로 나올 줄 알았는데 아예 안뜸 (크라켄이나 커세어랑은 다른가봅니다)

 - 헤더부의 브랜드 폰트쪽은 RGB LED가 안됨 

   (그래서 동전 자석을 준건가~~~~? ㅋㅋ)

 

 

야간샷

유리가 비춰서 일부러 측면유리는 떼고 찍어서 그런지 더 이쁘게 나온 거 같아요.

 

행복한 WOW 라이프 되세요.

+ Recent posts